12·3 비상계엄 및
oreo
0
2
05.10 11:23
12·3 비상계엄 및
12·3 비상계엄 및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국민의힘 내에서 탈당 압박을 받아온 김상욱 의원이 지난 8일 서울 동작구 현충원에서 참배 후 탈당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찬성표를 던진 여파로 국민의힘에서 탈당한 김상욱 무소속 의원을 향해 정치권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합리적 보수 재건’을 주장해온 그를 영입함으로써 정당마다 중도·보수로의 외연 확장을 시도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김 의원은 국회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지 147일, 또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선고한 지 36일만이었던 지난 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탈당을 선언했다. “극우 보수와 수구 보수가 아닌, 참 민주 보수의 길을 걷겠다”는 게 그의 다짐이었다.김 의원은 “국민의힘이 정통 보수 정당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를 간절히 바라왔고, 그 충정으로 외롭고 힘들지만 충언을 계속했다”며 “그러나 이제 가능성이 사라진 극단적 상황에 놓인 국민의힘을 아픈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탈당은 했으나, 새 당적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그는 기자회견 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와 만나 “현안 해결과 나라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언급했다. 민주당 또는 개혁신당으로의 입당이 거론되는 이유다.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후보는 김 의원이 탈당을 선언한 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구국 충정을 가진 어떤 분이라도 최대한 만나 함께하려 한다”며 “(김 의원을) 조만간 한번 보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현재 이재명 후보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중도 보수정당’을 선언하는 등 외연 확장을 꾀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김 의원을 영입할 경우, 부동층에 속한 중도·보수표 일부를 민주당으로 끌어올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2·3 비상계엄 및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당내에서 탈당 압박을 받아온 김상욱 의원이 지난 8일 서울 동작구 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 참배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의원을 반기는 건 개혁신당 역시 마찬가지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을 받기 위해 법정에 출석하는 모습이 오는 12일 처음 공개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 2차 공판에 출석해 있다. 연합뉴스 서울법원종합청사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서울고등법원(법원장 김대웅)은 8일 “오는 12일 예정된 공판 진행과 관련해 피고인(윤 전 대통령)이 서울법원종합청사 서관 쪽 지상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도록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법원종합청사는 윤 전 대통령 사건을 맡은 서울중앙지법이 있는 건물이다. 앞선 두 차례 공판에서 법원은 청사 방호 등을 이유로 윤 전 대통령의 지하 출입을 허용했는데, 다음부턴 불허하겠다는 것이다. 서울고법은 새 방침에 대해 “그간의 공판기일에서의 청사 주변 상황 등을 토대로 서울고등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주요 관계자 등의 간담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비롯한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서울고법원장이 결정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첫 형사 재판이 열린 지난달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입구가 통제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로써 윤 전 대통령은 지하 주차장까지 경호차를 타고 들어가 엘리베이터로 법정을 가는 대신 일반 피고인처럼 청사 서관 1층 입구 앞에서 하차한 뒤 도보로 입장하게 됐다. 이에 따라 법정으로 향하는 모습이 수많은 취재진 카메라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역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등으로 청사를 드나들 때 이곳을 통해 카메라 세례를 받으며 입장했었다. 관심이 큰 사안인 만큼 취재진 포토라인에 설 것으로도 보인다. 그동안 윤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이나 법원 내란 혐의 재판에 출석하면서 포토라인에 선 적이 한 번도 없다. 질의응답까지 이뤄진다면, 12·3 계엄 후 윤 전 대통령이 처음으로 언론에 직접 입장을 밝히는 장면이 된다. 다만 윤 전 대통령 경호처가 취재진의 질문을 막거나, 윤 전 대통령이 답변을 거부하고 직행할 가능성도 있다. 포토라인에 대해 법원 관계자는 “가능한 진행될
12·3 비상계엄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