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 필요한 뉴스만 '쏙' 뽑아 '속'도감

홈 > COMPANY > 연혁
연혁

출근길에 필요한 뉴스만 '쏙' 뽑아 '속'도감

oreo 0 6
출근길에 필요한 뉴스만 '쏙' 뽑아 '속'도감 있게 전달해드리는 [뉴스쏙:속]입니다. ■ 방송 : CBS 아침뉴스 ■ 시간 : 월~금 07:00~07:10 ■ 채널 : 표준 FM 98.1 MHz 영남 공략 집중 이재명·김문수, 오늘은 각각 전남과 서울로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6·3 대선 공식 선거 운동 사흘째인 어제 부산·경남을 찾아 지역 발전 공약을 제시하며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해양수산부와 우리나라 대표적 해운기업 HMM 부산 이전을 다짐했고, 김문수 후보는 사천 우주항공청과 항공정비업체를 찾아 전폭적인 지원을 강조했습니다. 선거 운동 나흘째인 오늘 이재명 후보는 광양과 여수, 목포 등을 돌며 전남 지역 유세에 나서고 김문수 후보는 서울에서 유세 일정을 이어 나갑니다. 한편, 어제 부산서 지지를 호소했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오늘 수도권 공략에 나섭니다. 김용태 "尹, 자진 탈당 판단해 준다면 당은 고민 해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국민의힘 탈당 문제가 대선전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탈당 여부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잘 판단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그 판단을 존중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어제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여러 가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당 입장에서는 자진 탈당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만약 그렇게 판단해 준다면 당으로서는 여러 가지 고민이 해결되는 방안 중 하나라고 윤 전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전광훈당' 비례대표 2번 석동현 김문수 선대위 합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변호를 맡았던 석동현 변호사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 시민사회 특별위원장으로 합류했습니다. 신동욱 중앙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이재명 후보로는 미래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다 모을 생각이라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석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의 40년 지기 [세종=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노사 간 이견이 첨예하고,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안일수록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확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돌아보면 사회적 대화를 거치지 않은 노동개혁이 번번이 실패로 돌아간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지난 3월 26일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를 위한 한국노총 전국단위노조대표자 및 간부 결의대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실제로 지난 2018년 2월 주당 법정근로시간을 기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도 앞서 2015년 9월 노사가 ‘실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법제도 정비’에 대해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합의했기 때문이다. 2015년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 의석은 152석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박근혜 정부는 이 의제를 사회적 대화에 부쳤다. 2004년 도입된 주 5일제(법정 근로시간 주 40시간) 역시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2000년 10월 노사정위원회(현 경사노위)는 ‘근로시간단축특별위원회’를 발족하고 합의문에 “근로기준법의 조속한 개정을 통해 법정근로시간을 주당 40시간으로 단축해 주5일 근무제를 정착시킨다”는 문구를 담았다.반대로 사회적 대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노동개혁은 다수가 좌초를 겪었다.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비정규직 제한 기간을 4년으로 연장하려는 시도와 2023년 윤석열 정부의 주 69시간제 논란 등이 대표적이다.이원덕 노사공포럼 상임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개혁에 대해 “노동개혁은 굉장히 지난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며 “우리 사회의 공감대 모으고 개혁 과정에서 봉착하는 난관을 돌파할 사회적 에너지를 결집해야 하지만 윤 정부는 일방적인 추진으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이 같은 사례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은 정치권에서 일제히 대선 공약으로 떠오른 주 4.5일제 역시 섣부르게 추진할 사안이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다. 국민 여론을 모으기 위해서라도 사회적
0 Comments
개인정보취급방침   |    법적고지   |    이용약관   |    이메일무단수집거부